건설뉴스
토공사업협의회는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는 분들을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제목 | 서울·경기·전남 건축자산 정보 한 데 모은다 |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17-04-25 |
조회수 | 10211 |
우리나라 곳곳에 있는 건축자산*의 정보가 한 데 모아져 건축자산을 관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날이 멀지 않았다.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을 서울특별시, 경기도, 전라남도(목포·영암)를 대상으로 시작한다. *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사회적·경제적·경관적 가치를 지닌 한옥, 근현대 건축물 등을 의미하며, 법적인 측면에서「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지정·등록된 것은 제외 이번 사업은 국책연구기관인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김대익)와 함께 추진하는 사업으로 지난 4월 5일 지자체 공모를 마감했으며, 올해 말까지 시범 사업을 완료하고 내년에는 전국으로 범위를 확대해 건축자산의 정보들을 한 데 모아 보존·활용할 계획이다. * 제7조제1항: 시·도지사는 건축자산 진흥에 필요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국민이 건축자산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건축자산 정보체계를 구축·운영하여야 한다. 법률에 따르면, 현재 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은 광역지방자치단체장(시·도)이 시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기술, 예산, 전문성 등의 문제로 광역지자체가 건축자산 정보를 구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 2012년부터 건축상 수상작, 한옥 등의 건축자산 정보를 수집⋅관리⋅서비스해 왔으며,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2015년 ‘지자체 건축자산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2016년에는 ‘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 매뉴얼’을 국토부와 공동 발간 시범 사업은 ▲건축자산 담당자 역량강화를 위한 공무원 교육, ▲해당 지자체에서 보유 중인 건축자산 정보의 현행화(아날로그 자료 디지털화 및 시스템에 기록), ▲수집 자료 분석을 통한 건축자산 콘텐츠 기획·개발, ▲사업 모니터링 및 시스템 운영·관리의 4단계로 추진된다.
|
이전글 | 제15회 건설신기술의 날, 유공자 20명 표창 |
---|---|
다음글 | 지역 특성 살린 산업·경관·복지·관광 맞춤으로 지원 |